전체 글53 스프링의 빈 스코프(bean scope) 이해하기 1. 빈 스코프란?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빈 스코프는 빈(Bean) 객체의 생성과 소멸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지를 정의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각각의 빈 스코프는 다양한 상황과 요구사항에 맞게 빈 객체의 생명주기를 제어하며, 스프링은 기본적으로 여러 가지 표준 스코프를 제공합니다. 이 글에서는 싱글톤, 프로토타입 스코프에 관해서 포스팅을 하고 웹 스코프와 관련된(주로 request ) 스코프는 다음 글에서 다루겠습니다. 2. 스프링에서 제공하는 표준 빈 스코프(싱글톤, 프로토타입) 1. 싱글톤(Singleton) 스코프 (기본값) 특징: 기본 값 하나의 빈 정의당 하나의 빈 인스턴스만 생성 컨테이너 내에서 해당 빈은 공유되어 사용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종료까지 유지되는 가장 넓은 범위의 스코프.. 2024. 1. 18. 스프링의 빈 생명주기 콜백 방법과 권장 사항 1. 빈 생명주기 콜백의 필요성 빈 생명주기 콜백은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에서 빈(Bean)의 초기화와 소멸 과정을 관리하는 중요한 기능입니다. 이러한 콜백이 필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자원 관리 및 초기화: 빈 생명주기 콜백을 활용하여 빈이 생성된 후에 초기화 로직을 수행하거나, 빈이 소멸되기 전에 리소스를 정리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의존성 주입 이후 로직 실행: 빈이 생성된 후에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이 완료된 시점에서 특정 로직을 실행하고자 할 때 빈 생명주기 콜백이 유용합니다. 외부 리소스 관리: 외부 리소스를 사용하는 빈의 경우, 초기화 시점에 리소스를 할당하고 소멸 시점에 해당 리소스를 정리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스프링 빈의 간단한 라이.. 2024. 1. 16. 리액트의 페이지 라우팅과 react-router-dom v6 활용 1. 페이지 라우팅(page-routing)의 개념 먼저 라우팅(routing)이란 뭘까요? 검색을 하면 '어떤 네트워크 내에서 통신 데이터를 보낼 경로를 선택하는 일련의 과정'이라 나옵니다. 말이 어렵죠 쉽게 말해서 데이터를 보낼건데 그 데이터는 한 방에 목적지로 가지 않습니다.여기저기 들려서 전해집니다.그 여기저기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그래서 라우터(router)란 실시간으로 데이터들이 어디로 가야될지 알려주는 길잡이라 할 수 있고 따라서 라우팅(routing)이란 경로를 정해주는 행위 자체와 그런 과정들을 다 포함하여 일컫는 말입니다. 리액트에서 페이지 라우팅은 다양한 화면 간 전환이 가능하도록 도와주는 핵심 개념입니다. 단순히 어떤 요청에 따라서 어떤 페이지를 돌려줄지 결정하.. 2024. 1. 15. 리액트의 SPA와 CSR 방식 리액트는 기본적으로 페이지 이동과 관련해서 SPA와 CSR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 글에서는 리액트에서 사용하는 SPA와 CSR 방식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그 전에 MPA 방식과의 비교를 위해 MPA 방식을 먼저 소개하겠습니다. 1. MPA (Multi-Page Application) MPA(Multi-Page Application)는 다중 페이지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하며, 전통적인 웹 애플리케이션 구조입니다. 각 페이지는 서버로부터 새로운 HTML을 받아와 전체 페이지를 다시 로드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즉, 여러 개의 페이지(HTML)를 준비해놨다가 요청이 들어오면 그 요청 경로에 따라 적절한 페이지를 보내주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각각이 새로운 요청이기 때문에 화면이 새로고침처럼 바뀌게 됩니다. .. 2024. 1. 15. 이전 1 2 3 4 5 6 7 ··· 1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