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3 문자열 유효성 검증 StringUtils.hasText(String) 개발을 하면서 유용했던 문자열 유효성을 검증해주는 기능에 대해서 기록하고자 합니다.기억하고 있으면 꽤나 자주 쓸거 같습니다.StringUtils의 hasText 메서드입니다.들어가보면 아래와 같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결론부터 말하면 이는 파라미터로 넘긴 문자열이null이 아닌지길이가 0보다 큰지공백이 아닌 문자가 하나라도 포함되어 있는지검사를 해줍니다!기능은 매우 유용하여 자주 쓸거 같습니다.사용 방법도 파라미터로 문자열만 넘겨주고결과는 boolean 값만 받으면 되니 분기문에서 자주 사용될거 같습니다.예를 들어서 아래와 같이 유효성 검증을 할 수 있습니다.if (!StringUtils.hasText(user.getUserName())) { // user 객체의 userName이 null이 아니고.. 2024. 9. 7. static import 소개 자바에서 static import는 특정 클래스의 정적 멤버(메소드 또는 필드)를 클래스 이름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참조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이는 코드의 가독성을 향상시키고, 특히 테스트 코드에서 사용될 때 테스트 케이스를 더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static import의 개념을 소개하고, JUnit에서 자주 사용되는 assertThat과 어떻게 함께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static import 소개 static import는 자바 5부터 도입된 기능으로, 특정 클래스의 정적 멤버 (메소드 또는 필드)를 클래스 이름을 생략하고 직접 참조할 수 있게 해줍니다. 굳이 필요할까 생각도 들지만 이는 보통 테스트 코드에서 자주 사용되며, 주로 asser.. 2024. 1. 8. Optional Optional이란? Optional은 객체를 담는 그릇이다. 객체가 존재할 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는 경우 즉, null이 될 수도 있다면 Optional에 담는다. Optional은 null이 될 수도 있는 객체를 감싸는 래퍼 클래스이다. Java8부터 지원되는 Optional을 활용하면 null 체크하는 부분에서 개발의 효율을 올릴 수 있다. 쉽게 생각해서 원소가 최대 하나 밖에 없는 Collection이나 Stream으로 생각해도 된다 Optional 사용 이유 NPE(Null Pointer Exception)를 유발할 수 있는 객체를 직접 다루지 않아도 된다. 일일이 null 체크를 직접 하지 않아도 된다. 명시적으로 해당 변수(객체)가 null일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표현할 수 있다.(불필요한 .. 2023. 9. 17. 이전 1 다음 반응형